본문 바로가기

스포츠둥지 기자단

스포츠가 있는 겨울 여행지

글/한지연(경희대학교 언론광고PR/방송영상스피치)

어릴 적 가족 여행 때, 차를 타고 남쪽으로 내려가다가 우연히 '대전 월드컵 경기장'이라는 이정표를 본 적이 있다. 늘 TV 중계로나 볼 수 있었던 우리 팀 대전의 홈구장이라니... 나는 아빠를 졸라 불이 다 꺼진 경기장을 한 바퀴 돌고 나서야 아쉬운 발걸음을 옮길 수 있었다.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제공>

시간이 지나고 나는 자주 퍼플아레나를 방문할 수 있었지만, 그 때의 감흥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어떤 구단을 좋아하고 아끼는 팬들에게 경기장은 단순히 경기장의 의미를 뛰어 넘어 선수들의 땀과 극적인 역전승, PK 실축과 감독의 부당한 판정까지 모든 것이 담겨 있는 곳이다. 그냥 지나치기엔 그 자체만으로도 특별한 경기장들. 그래서 한 번 쯤은 꼭 전국 방방곡곡에 흩어져 있는 경기장을 둘러봐야지 하는 마음을 먹었었다. 아직까지 그 다짐을 실천에 옮기지는 못했지만, 겨울을 맞아 산으로 바다로 떠나는 여행객들을 위해 전국에 흩어져 있는 경기장 정보들을 살짝 공개하려고 한다.
 
프로축구와 프로야구는 지난 가을 이미 2010 시즌이 종료된 상태이지만, 프로농구와 프로배구는 차가운 겨울이 가장 뜨거운 시즌이다. 프로축구와 프로야구 팬들도 아쉬워하지 않아도 좋다. 몇몇 축구장과 야구장에는 시즌과 상관없이 오픈하는 박물관, 홍보관 등이 마련되어 있다.
 
[프로리그 시즌 일정]
 프로야구 : 3월 초 ~ 10월 중순
 프로축구 : 3월 초 ~ 12월 초
 프로농구 : 10월 중순 ~ 3월 말
 프로배구 : 12월 초 ~ 4월 중순
 

서울/경기 지역

 
[야구] SK 와이번즈: 인천광역시 남구 문학동 산 8번지 문학야구장
[야구] 두산 베어스: 서울시 송파구 잠실1동 10번지 잠실야구장
[야구] LG 트윈스: 서울시 송파구 잠실1동 10번지 잠실야구장
[야구] 넥센 히어로즈: 서울시 양천구 목1동 914 목동야구장
[축구] 성남일화천마: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486번지 성남 제2종합운동장
[축구] FC서울: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515 월드컵경기장
[축구] 인천유나이티드: 인천 남구 문학동 482 인천월드컵경기장
[축구] 수원삼성블루윙즈: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안1동 228 수원월드컵경기장
[농구] 서울 삼성: 서울 송파구 잠실1동 10
[농구] 서울 SK: 서울 송파구 잠실1동 10-3
[농구] 인천 전자랜드: 인천 부평구 삼산동 458-1
[농구] 안양 KGC: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3동 1023
[남자배구] 대한항공 점보스: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 12-155 인천도원체육관
[남자배구] Kepco45: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775 수원실내체육관
[남자배구] 우리캐피탈 드림6: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200-102 장충체육관
[여자배구] 한국도로공사 제니스: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3110 성남실내체육관
[여자배구]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775 수원실내체육관
[여자배구]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 12-155 인천도원체육관
[여자배구] GS칼텍스 서울KIXX: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200-102 장충체육관
 
 수도권 지역인만큼 많은 구단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여자배구는 리그 총 5개의 팀 중 4개 팀이 서울, 인천, 성남, 수원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다. 한창 시즌인 농구와 배구를 관람하기에도 충분하다. 주로 경기장이 위치하고 있는 서울, 인천, 수원, 성남, 안양 지역은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기도 편리해서 수도권에서는 짐을 꾸려 나가지 않아도 각종 경기들을 즐길 수 있다. 주변에 무심코 지나가던 크고 작은 경기장, 체육관들에서 흥미진진한 경기들이 펼쳐진다. 이미 시즌이 끝난 야구나 축구의 감동을 느끼려면 서울 월드컵 경기장의 월드컵 기념관, 수원 월드컵 기념관이나 잠실야구장에 위치한 두산 베어스 기념관에 들러보자. 작지만 소소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강원도 지역
 

[축구] 강원FC: 강원 강릉시 교동 산 11번지 강릉종합운동장, 춘천시 송암동 305번지 춘천종합운동장, 원주시 명륜동 342번지 원주종합운동장
[농구] 원주 동부: 강원 원주시 명륜1동 589번지 치악체육관 내
 
 이동성과 날씨 때문인지 강원도에는 구단이 적은 편이다. 2008년 12월 창단한 강원FC와 프로농구 인기 구단인 원주 동부. 원주는 강원도에서도 수도권과 가까운 편이고 강릉으로 가는 길목이어서 차를 가지고 이동하는 여행객에게 추천한다. 강원FC의 경우 아직 전용 구장이 없어 춘천, 강릉, 원주 운동장을 번갈아 쓰고 있는데 주로 강릉에서 경기가 열린다. 춘천종합운동장은 여행지로 인기가 많은 가평, 강촌과 가까운 위치에 있다. 자연이 아름다운 여행지로 손꼽히는 강원도에 아직 많은 팀이 없는 것이 아쉽지만, 강원FC나 원주 동부의 스포츠 열기가 뜨거운 만큼 앞으로 더 많은 볼거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도 지역

  
 
[야구] 한화 이글스: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 177 대전야구장
[축구] 대전시티즌: 대전 유성구 노은동 270번지 대전월드컵경기장
[남자배구] 삼성화재 블루팡스: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 177-1 충무실내체육관
[남자배구] 현대 스카이워커스: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 255-1 천안유관순체육관
[여자배구] 한국인삼공사: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 177-1 대전충무체육관
 
충청도는 짧은 휴일에 가깝게 다녀올 수 있는 중간 지점이다. 서울에서 대전까지는 버스로 두 시간. 광주에서는 두 시간 반. 부산에서는 세 시간이 걸린다. 충청도는 휴양림, 수목원, 온천, 드라이브 등 조용히 휴식을 취하는 여행으로 인기가 있는데, 돌아오는 길에 대전에 들러 V리그 배구 한 경기를 즐기고 오는 것은 어떨까. 실내 경기인 배구와 가벼운 온천 여행이 잘 어울린다.

전라도 지역
 


 

[야구] 기아 타이거즈: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316 광주무등종합경기장
[축구] 전북현대모터스: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763-1 전주월드컵경기장
[축구] 전남드래곤즈: 전남 광양시 금호동 700 광양전용구장
[축구] 광주상무: 광주 서구 풍암동 423-2 광주월드컵경기장 -> 2011시즌부터 경북 상주로 이전
[농구] 전주 KCC: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664-14
 
K리그의 16개 구단 중 세 팀이 전라도에 위치하고 있다. 광주상무는 2011년 시즌부터 경북 상주로 연고를 이전하게 되었지만, 전라도에는 유독 축구 팀들이 눈에 띈다. 또 지리상 전라도는 길쭉한 모양이어서 구단이 멀찍멀찍이 떨어져 있다. 전북의 전주에서는 전주 비빔밥을, 광주에서 보성 녹차밭, 전남 광양에서 윤동주 시인의 포구와 광양항을 즐길 수 있다. 

경상도 지역
 


 
[야구] 롯데 자이언츠: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930 사직야구장
[야구] 삼성 라이온즈: 대구광역시 북구 고성동 3가 6번지
[축구] 포항스틸러스: 경북 포항시 남구 괴동동 1 포항스틸야드
[축구] 경남FC: 경남 창원시 두대동 145번지 창원종합운동장
[축구] 울산현대: 울산 남구 옥동 산 5번지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축구] 부산아이파크: 부산 연제구 거제2동 1299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축구] 대구FC: 대구 수성구 대흥동 504번지 대구스타디움
[축구] 광주상무: 광주 서구 풍암동 423-2 광주월드컵경기장 -> 2011시즌부터 경북 상주로 이전
[농구] 울산 모비스: 울산 중구 남외동 754
[농구] 창원 LG: 경남 창원시 두대동 145
[농구] 대구 오리온스: 대구 북구 산격4동 1427-1
[농구] 부산 KT: 부산 동래구 사직2동 930
[남자배구] LIG 그레이터스: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 산50 구미박정희체육관
 
경상도 지역은 유일하게 수도권과 대적할 수 있을 만큼 구단이 많고, 또 그 열기도 무척 뜨겁다. 경상도 지역으로 묶어 표현했지만, 대구, 부산, 포항, 창원, 울산, 구미 등 각각의 색깔이 뚜렷하다. 이 곳들을 모두 여행하려면 꽤 긴 시간을 투자해서 꼼꼼하게 둘러봐야 할 것 같다. 프로야구 여덟 개의 팀 중 구단 자체 박물관을 보유하고 있는 팀이 두 팀(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 뿐인데, 그 두 팀이 모두 경상도를 연고로 하고 있으니 팬들의 열정적인 지지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삼성 라이온즈의 연고지인 대구는 야구, 축구, 농구 팀이 골고루 있는데, 특히 삼성 라이온즈가 역사도 길고 팬 층도 두텁다. 부산의 롯데 역시 부산 야구 여행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스포츠 열기가 뜨거운 곳으로 손에 꼽힌다. 이뿐만 아니라 2011년 시즌부터 새롭게 출범하는 엔시소프트의 연고지 역시 경상도 지역권의 창원으로 결정되었다.

제주도 지역
 


 
[축구] 제주유나이티드: 제주 서귀포시 강정동 3355-5번지 제주월드컵경기장

마지막으로 제주도 지역에 있는 유일한 프로팀은 제주유나이티드이다. 제주유나이티드는 꼴찌에서 2010 K리그 준우승을 차지할 만큼 저력 있는 팀이다. 겨울에는 시즌이 끝나고 쉬는 중이지만 따뜻한 날씨 덕분에 많은 팀들이 제주도로 전지훈련을 떠나기 때문에 국가대표 팀, 구단 스케줄을 꼼꼼히 체크해보면 좋아하는 선수들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길지도 모른다. 또한 서귀포 월드컵 경기장 내에 월드컵 기념관을 짓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니 곧 아쉬움을 달래줄 볼거리들이 생길 것 같다. 이 밖에도 제주도에는 박찬호•선동렬•이종범•이상훈 선수 등이 사용하던 유니폼•신발•배트•사인볼과 김응룡 감독이 사용하던 유니폼•신발, 미국의 홈런왕 베이브 루스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실버배트와 골든볼 등 다양한 소장품이 전시되어 있는 야구박물관도 있다.

 
더 자세한 정보들은 연맹이나 구단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자.
올 겨울은 스포츠와 함께 좀 더 특별한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KBO 한국 야구 위원회: http://www.koreabaseball.com/
K리그 연맹: http://www.kleaguei.com/
KBL 프로농구: http://www.kbl.or.kr/
KOVO 한국 배구 연맹: http://www.kovo.co.kr/ⓒ스포츠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