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야별 체육이야기/[ 생활체육 ]

한국인, 당신은 얼마나 운동하고 있는가?


                                                                                    글 / 김연수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부교수) 


여러분들은 직장이나 학교를 어떻게 다니고 있는가? 모임에 가거나 쇼핑을 하러 갈 때 얼마나 걸어
다니는가? 또 집안일은 어떻게 하는가?  자신이 하루 종일 몇 보 정도를 걷는지 알고 있는가?


보통 가사를 주로 하는 주부들, 책상에 앉아 컴퓨터로 작업하는 직장인들은 하루에 3,000보 정도밖에
움직이지 않는다고 한다. 한번 생각해 보자. 조금 멀게는 여러분들의 조부모님이나 부모님 세대의
일상
생활을 떠올려 보거나, 가깝게는 여러분들의 어린 시절을 회상해 보자. 학교에 가기위해 십리
길을 마다
하지 않고 걸었던 우리의 윗세대들, 손수 하던 빨래와 집안일들, 친구들과 밖에서 해질
때까지 뛰어놀던
하루 일과가 생각날 것이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문명과 그에 따른 생활문화의 변천은 현대인에게 있어
과거 인류가 살았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행동양식으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하나는 현대인이 겪고 있는 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로서, 우리가 너무
움직이지 않아서 비만과 질병에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근 각국에서는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름대로의 운동과 신체활동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여 홍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규칙적인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7330, 530이라는 표어가 많이 알려져 있다. 이는
‘1주일에 3일 30분 이상 운동하자, 혹은 1주일에 5일 30분 이상 걷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
정부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따른 운동권장기준은 주당 5일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중등도
운동을 실천하거나, 주당 3일 이상, 1일 20분 이상 고강도 운동을 실천하는 것이다.


여러분들은 이런 운동권장기준에 맞게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있는가? 혹시 해마다 새해의 다짐
으로만 되풀이 하고 있지는 않는가? 우리의 자화상을 살펴보자.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태를
보여주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 동안 어떤 이유든지 걷기를 주 5일 이상,
1회 30분 이상 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76% (2001) -> 61% (2005) -> 46% (2007)로 해마다 감소
하고 있다. 또한 최근 1주일 동안 빨리 걷기와 같은 조금 힘든 중등도의 신체활동(운동)을 1회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의 비율은 18.7%(2005)에서 9.9%(2007)로, 최근 1주일 동안
1회 20분 이상, 3일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15.2%(2005)에서
13.9%(2007)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국가 건강조사에 따른 중등도 신체활동율이 33%(2003), 격렬한 활동율이 23%(2001)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운동량이 상당히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규칙적 운동이 더
절실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대사증후군이 있는 만성질환자들이 그렇지 않는 사람들보다도
규칙적인 운동실천율이 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함은 미래의 희망인 청소년도 예외가 아니다. 2007년 전국 중․고등학생 8만
여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주당 3일 이상, 20분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비율은 전체 29.9%로서, 남, 여 각각 41.6%, 16.7%이다. 이는 2005년
46.8%, 2006년 44.9%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결과이다. 그리고 주당 중등도 신체활동을 5일 이상, 30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은 전체 9.9%로서, 남, 여 각각 13.7%, 5.5%로 조사되었다. 마찬가지로 2005년
11%, 2006년 10.7%에 비해 감소하고 있다.

학생들의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그나마 해마다 개선되기는커녕 운동부족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점,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리고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의 운동부족이
더 크다는 점은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건강 관련 지식과 정보들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많이 제공되고 있는
점을 생각해 보면, 상당히 실망스럽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운동 및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이 높아졌고, 그에 따라 규칙적인 운동 실천율도 증가했을 것이라는 기대가 무색하다.

운동과 신체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상의 특성과 생활공간에 따른 맞춤 교육과 홍보방법을 마련
하여 국민들의 인식을 증대시키고, 표준화된 운동 및 신체활동 지침 권고안을 마련하여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은 인식과 실천이 비례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생활습관에 있어서 인식과 실천의 괴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예를 들면 운동할 수 있는 사회적, 물리적 지지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이를 체계적으로 담당할
시스템과 인력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회적 소외계층, 운동소외대상과 입시 준비에
찌들려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다양한 실천전략이 절실할 것이다.


ⓒ 스포츠 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