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야별 체육이야기/[ 학교체육 ]

초등 체육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Kagan 구조의 실제 ⑴

 

 

글/ 엄혁주(고려대학교 강사)

 

          지난 글에서 우리는 초등 체육수업에서 적용 할 수 있는 Kagan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Kagan 구조를 통해 어떻게 수업을 진행해야 하며, 전략이 무엇인지에 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간단한 협동게임 이상으로 스포츠 활동에 Kagan 구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Kagan 구조의 연습을 통한 이해가 필요하다. (Dyson & Grineki,2001). 앞으로 제시되는 모형은 Kagan(1992), Johnson & Johnson(1975), Johnson, Johnson Holubec,(1984) 그리고 Roy(1984), Aronson(1978), Orlick(1978,1982), 그리고 Slavin(1980)의 협동학습 방법을 체육의 실용성에 적합하게 맞춰 수정한 5가지 구조이다.(Dyson & Grineki,2001).

 

 

 

 

가. Think-Share-Perform

  Kagan(1992)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Think-Pair-Share”을 기초로 개발된 학습방법이다. 진행방법은 비판적인 사고(thinking), 토의(sharing), 처리(negotiating), 실행(performing)하는 4가지 전략이다. 창의적인 게임이나 무용, 장애물 게임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적용 방법은 5가지로 제시된다.
 ① 교사는 도전할  활동과제와 전술적인 문제를 제시한다.
 ② 학생은 개인적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생각한다.
 ③ 학생들의 그룹을 나누고, 구성원들과 함께 개인적으로 생각한 문제의 해결안을 서로 토론한다.
 ④ 과제해결을 위해 제한된 해결안들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 결정한다.
 ⑤ 학급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결정한 해결안 을 실행한다.


  위와 같은 학습 전략은 활동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모든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나. Pair-Check-Perform

  Kagan(1992)의 “Pairs Check” 을 기초로 하였다. 이 구성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적인 사고가 필요하며, 이때 다른 구성원이 학습을 돕는다. 즉, 두 구성원이 서로 관찰하고 실행하는 것을 번갈아 하면서 서로 학습을 돕는 것이다. 이 전략은 수중 기술이나 체조, 스포츠, 공간 이동이 큰 움직임에 적합하다.


  적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교사는 학생들이 배울 과제의 기술을 설명하거나 시연한다, 다음 학생들이 이해하였는지 확인한다.
 ② 학생들을 2명씩 4 그룹정도 만든다.
 ③ 한 학생에게 기술을 연습하게 하고, 그동안 또 한 학생에게 세부적인 피드백과 성공전략을 제공하게 한다.
 ④ ③번을 다시 번갈아 수행하면서 서로 수행자 또는 조언자가 된다.
 ⑤ 두 학생이 기술을 정확히 수행하게 되면, 각자 한 번 더 기술을 보여준다.


  이 전략은 한 학급의 다른 학생들에게 시연을 하여 정확히 수행했다는 다른 학생들의 동의가 있어야만 다른 기술을 연습할 수 있다. 즉 평가는 교사가 아닌 학급의 다른 구성원들이 한다.

 

다. Jigsaw Perform

 이 전략은 Aronson(1978)의 Jigsaw 활동을 기초로 하였다. 이 구성은 각 학생들에게 과제의 한 부분을 책임지고 연구하게 하고 그 다음 다른 구성원을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이 Jigsaw Perform은 자신의 해결 과제를 위해 다른 구성원들의 정보에 의존하면서 강한 상호 의존성이 생긴다. 무용을 가르칠 때, 운동기술과 전술을 검토할 때, 그리고 일상적이며 창의적인 부분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진행 방법은 4가지로 다음과 같다.
① 교사는 학생들을 소그룹으로 구성해 여러가지 과제들을 할당해준다.
② 각 그룹의 구성원은 주어진 과제 해결을 위해 책임지고 학습과 연습한다.
③ 그룹 내 구성원들에게 과제를 가르친다.
④ 전체 구성원들에게 시연을 한다.

 

라. Co-op Play

 Co-op Play는 Orlick(1978,1982)와 Johnson 외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Learning Together"을 기초로  패러다임을 설명하였다. 활동을 포함하여 도전에 성공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학습하는 것을 강조한다. 동작을 수정하거나 창의적인 게임, 무용 그리고 장애물 게임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5가지 진행방법을 제시한다.
① 교사는 활동과제의 시연과 설명을 하거나 또는 문제해결을 위한 질문을 통해서 과제를 제시한다.
② 교사는 필요한 사회적 기술의 모델을 제시하거나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한 사회적 기술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③ 교사는 학생들이 목적을 성취시킬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보충해 준다. 단 모든 구성원들에게 설명할 때 제공한다.
④ 학생은 교사가 보강한 아이디어나 행동들을 통해서 활동에 참여한다.
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활동에 대한 사고를 토론하여 나누게  유도한 교사에 의해 성취된 그룹과정에 학생들은 참여하게 된다.


마. Learning Teams

 Slavin(1980)의 STAD와 Johnson et la.,1984)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Learning Teams은 성공적인 그룹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여 기술을 사용하고 책임감과 리더십을 키워주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스포츠 기술과 전략을 학습시키는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모든 체육교육에 적용하기는 시기상조이다. 학생들은 그룹활동을 돕기 위해 코치나 기록자, 시설 관리자, 조언자의 역할을 한다.


① 학생들을 3~6명 정도로 그룹을 구성한다. 교사는 기술과 전략을 시연하거나 설명한 다음 학생들이  이해하였는지 확인한다.
② 교사는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사회적, 인지적 기술과 결과를 학생들에게 설명한다. 이런 결과와 기술은 기록하는 학생들을 위해 과제 시트(task sheet)에 목록으로 만든다.
③ 교사는 각 구성원들에게 구체적인 규칙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치(coach)는 학생들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에게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확인자(checker)는 모든 학생이 될 수 있으며 과제를 완벽하게 수행 한다. 기록자(recorder)는 과제 시트에 있는 내용을 적는다. 시연자(demonstrator)는 과제의 모델이 되며, 조언자(encourager)는 모두 함께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준다.
④ 학생은 과제를 이행하는 동안 할당된 임무를 완수한다. 역할들은 다음 과제에 바뀔 수 있으며, 모든 학생이 각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⑤ 학생들의 수행은 사용한 과제시트를 통하여 평가 할 수 있다.
⑥ 마지막은 그룹과정을 위한 토론의 시간이다. 기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경험을 말하고, 전략적인 연습이 어떤 것인지 논의 되며, 교사는 다음 수업의 목적을 정하기 위해 조언을 해준다. 

 

 

 아무리 좋은 수업방법과 수업모형이 있더라도 실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없다면 더 이상 존재의 가치가 없는 것이다. 물론 수업에 있어서 만병통치약은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업은 교사의 노력에 의해 충분히 가능하다. 모른다고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모르기 때문에 한 번 시도해보는 도전을 통해 변화되고 즐거워 할 학생들을 생각해보자. 교직의 보람과 행복은 결코 먼 곳에 있지 않고 바로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하는 것이다.

 

 

 

ⓒ 스포츠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