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둥지 기자단

지자체와 프로구단의 힘겨운 줄다리기

 

 

글 / 강동균 (스포츠둥지 기자)

 

 

 

 

누구 힘이 더 센지 한번 붙어보자

 

지자체와 프로 구단이 돈을 놓고 끊임없는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물론,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충분히 납득이 가는 상황이다. 공급은 한정되어 있는데 수요가 많다면? 가격은 당연히 오르는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스포츠’라는 틀에서는 달라야 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지자체와 스포츠 구단의 줄다리기에 본격적으로 불을 지핀 사건은 서울시 소유의 잠실 야구장에 '전세살이'를 하고 있는 LG와 두산이 ‘어떤 조건으로 계약을 하느냐’에서 비롯됐다. 기본적으로 서울시와 LG, 두산은 3년마다 계약을 갱신하고 있다. 재계약을 할 때마다 금액을 올려왔었다. 하지만 문제는 올해였다. 작년보다 무려 85%가 인상된 금액(38억 1000만원)을 제시했다. 이는 부산시가 사직구장을 롯데에게 빌려주는 금액(4억 4100만원)의 8배에 달한다.

 

 서울시의 논리는 철저한 시장자본주의 논리였다. 잠실구장은 두 팀이 홈으로 쓰고, 프로야구의 인기 증가로 인해 자릿세를 올리겠다는 것이다. 물론, 서울시의회의 조례 내용에 따르면 구단 수입이 늘어날수록 임대료도 높아지게 돼 있다. 하지만 문제점은 위탁 계약이라는 시스템에 기인한다. 임대는 일정 임대료만 지불하면 그 이후의 수익은 모두 구단의 것이 된다. 하지만 위탁은 구단이 돈을 벌수록 지자체도 얻어가는 것이 많아지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시선을 조금 바꿔볼 필요가 있다. 지역브랜드 자산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 늘어나는 수익에 급급하기보다는 잠실 야구장과 서울시의 브랜드 자산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 좀 더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어쩌면 위와 같은 시선들은 구단을 옹호하고 지자체를 비난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위와 같은 주장의 배경은 바로 ‘스포츠 경기를 보러 오는 관람객을 위한 행동은 과연 어떤 것인가’라는 소비자 지향적 관점이다. MBC SPORTS+의 허구연 해설위원은 “프로 스포츠 경기가 홈 구장에서 열린다는 것은 일종의 축제를 열어주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따라서 지자체에서는 새로운 문화생활, 여가생활을 제공하는 구단에 오히려 감사해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본질을 잊어버리지 말자


 지자체에서는 스포츠를 수익 창출의 대상이 아니라, 공공재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프로 스포츠는 비즈니스인가 아닌가’의 해묵은 논쟁은 적어도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는 논쟁거리가 되지 못한다.


 우리나라의 프로 스포츠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80년대 제5공화국 정부가 스포츠 분야의 활성화라는 명목 하에 아마추어 스포츠의 프로화를 추진했다. 삶의 고단함을 잊게 하는 하나의 탈출구와 같은 역할이 바로 스포츠였다. (물론, 그 이면에는 정치로부터 관심을 떼어놓으려는 계산이 있었다) 스포츠를 통해서 국민들이 삶의 고단함과 시름을 덜고 잠시나마 웃을 수 있는 역할을 기대했던 것이다. 프로 스포츠의 시작이 이랬다면, 적어도 처음의 이 마음가짐만큼은 늘 새겨두어야 할 것이다. 소비의 비배제성이라는 공공재의 성격에 의해 국민 누구에게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모든 것이 경쟁상대가 되는 세상이다


 이제는 산업 간 혹은 제품이나 서비스 간의 경쟁의 벽이 없어졌다. 일본의 우치다 카즈나리는 이를 ‘이업종 격투기’라고 표현했다. 쉽게 말해서 프로 야구의 경쟁상대는 프로 축구가 아니라, 영화관이나 테마파크와 같은 것이라는 말이다.


 그렇다면, 지자체가 눈 앞에 이익만 생각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하지 않는 프로 스포츠 시장이라면, 소비자들은 언젠가는 등을 돌리게 될 것이다. 이들은 이제 더 이상 야구장과 축구장이 아니라 영화관, 테마파크에서 여가 생활을 즐길 것이다. 지자체는 수익을 쫓아 움직이는 시장 논리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지자체에게 손해가 아닌가? 그들의 주장대로라면 눈 앞의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주는 것이 올바른 행동일 것이다.

 

 

 

ⓒ 스포츠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