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야별 체육이야기/[ 전문체육 ]

Core stabilization의 이해



                                                                    글 / 이종삼(대구대학교 체육학과 교수)

 
Core는 인체 중력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모든 움직임이 시작되는 곳이다. The core는 일반적으로 trunk, pelvic, 그리고 shoulder girdles로 구성되며 체내 작용하는 전체 운동사슬(total kinetic chain)이
힘의 부하를 감소시켜 역동성을 제공하고, 비정상적 부하를 극복하는 힘을 생성해내도록 통합된 기능적 단위로 작용한다. 

 
체간 근육들은 상체와 하체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해 그리고 하중이 상체로부터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정된 위치에서 척주를 유지해 줄 수 있어야만 한다. Core musculature는 부상에 대해 통합된 예방 기전으로 작용해 경기 중 과도한 힘의 작용으로부터 척주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많은 충격이 가해지는 스포츠에 참여시 안전하게 스포츠 활동을 수행하고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의 생성을 위해서는 강한 core musculature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콘텐츠출처: 오픈애즈(http://www.openas.com)
                                             사전 허가 없이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금지합니다.


The core는 기능적 활동 중 자세의 정열과 동적 균형을 유지시키며, 효율적인 신경근 시스템을 지니고 있느냐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 발휘한다. 신경근계가 효율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면 가해지는 부하에 적절히 대처해내지 못할 것이다. 강하고 안정된 core는 동적 자세의 조절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적의 신경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경근 효율성의 감소는 기능적 활동 중 좋지 않은 자세를 만들어낼 뿐 아니라 그에 대한 보상(compensation)과 대체(substitution) 형태의 동작들을 유발해 낸다. 이와 같은 변형된 형태의 동작들은 수축성 혹은 비수축성 조직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게 되어 반복적인 미세손상, 비정상적인 생체역학, 및 부상을 유발하게 된다. 
 
Local stabilizer들은 부착되어 있는 위치로 인해 움직임과 수축 중 근 길이의 변화를 거의 생성해내지 못한다. 그들은 하나의 관절에 연결되어 주동 및 길항적 움직임 모두에서(특히, 빠른 스피드의 움직임에서) 수축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심부에 위치해 있는 근육들로 피막(capsule)이나 인대와 같이 관절의 불활성 구조(inert structures)에 부착되고 속근(Type IIb; phasic muscle)이라기보다는 지근(Type I; tonic muscle)의 경향을 나타내는 근육이다(Meadows, 2003). Global stabilizer들은 주동근으로서의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큰 근육들로 관절들과 함께 기능적 단위의 움직임을 제공한다. Local stabilizer 근들의 활성을 만들어내는 역량이 부족한 환자들에게 있어 global muscles의 과도한 수축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요부 및 다른 신체 부위에 통증을 나타낼 수 있다. 

 
Core stabilization을 제공하는 세 가지 주요 기전이 알려져 있다(Optimum Performance Training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Specialist course manual, 2002).

∎ Thoracolumbar stabilization mechanism
∎ Intra-abdominal pressure mechanism
∎ Hydraulic amplifier mechanism

The thoracolumbar stabilization 기전은 thoracolumbar fascia에 작용하는 것으로 요추의 기능적 안정성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비수축성 조직의 연결망이라 할 수 있다. Transverse abdominis와 internal oblique의 수축은 thoracolumbar fascia에 견인력(traction force)과 장력(tension force)을 생성해 the lumbo-pelvic-hip complex의 분절간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수축이 lumbosacral junction에 가해지는 병진(translation) 및 회전(rotational)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The intra- abdominal pressure 기전은 lumbo-pelvic-hip complex의 압축력(compressive forces)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결과로 횡격막의 상승과 pelvic floor musculature의 수축이 일어나며 고유의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도와준다.

The hydraulic amplifier 기전은 척추기립근의 근활성을 감소시키고, “load-shifting"을 수축성이 없는 조직 및 원심성으로 수축하는 gluteals와 hamstrings에 발생시켜 작용한다. 

 
Core stabilization training의 이점들로는 동적 자세 조절의 향상과 적절한 근육의 균형 유지, 관절의 arthrokinematics의 확인, 기능적 근력의 발현, 및 전체 운동사슬에 걸친 신경근의 효율성 향상 등이 포함된다. 수기 요법은 동작에 대한 분절과 관절의 가동 범위를 회복시켜 통증을 감소시키며, 적절한 구심성 및 원심성 운동을 통해 더 나은 움직임의 조절이 일어나도록 도와준다.

References
Meadows, J. North American Institute of Manual Therapy Lower Quadrant Level III Course Manual. 2003, pp.20-56.
Optimum Performance Training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Specialist Course Manual 2002. National Academy of Sports Medicine. Chapter 6. 

                                                                                                                                ⓒ 스포츠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