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야별 체육이야기/[ 학교체육 ]

체육시간의 꾸미기 체조, ‘오빠~달려’


                                                                                              글 / 강경탁 (잠신중학교 교사)



체조. 체육수업 시간에 조금 지루하지만 꼭 기억나는 단골메뉴 중 하나다. 
체조수업은 맨손체조, 매트운동(앞구르기, 뒤구르기, 다리 벌려 앞구르기 등),
뜀틀운동 등이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난이도 구분 없이, 비슷하게
적용되며, 개인의 신체적 능력만을 평가하여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다.
경쟁 활동을 통한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흥미 있는 시간과 비교했을 때
경쟁적 요소가 빠져 흥미가 떨어지는 것은 이해가는 부분이다.

 
무용. 교과서에 자리를 잡고 있긴 하지만, 심미적 표현활동을 구조적으로 수업에
적용하기 힘들어, 일선에 체육을 전공한 교사가 가르치기에는 어려움이 따라
대체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평가영역에서 기존의 종목 수와 평가반영비율을 삭제하여
평가의 자율성은 확대하였지만, “한 학년에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 활동을
꼭 가르치고 평가해야만 한다.”라고 하여, 평가의 책무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에는 학교에서 무용 등의 표현활동을 수업하기 어려운 여건이면 다른 종목이
대체가 가능하였지만, 이제는 표현활동 영역에서 꼭 수업이 이루어 져야만 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표현활동 영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는 표현활동 
 
학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표현활동 종목은 음악 줄넘기, 창작 체조, 트니클링(대나무춤),
창작무용, 에어로빅, 치어리딩, 리듬체조(볼, 후프, 리본 등), 꾸미기 체조 등
다양한 활동이 있는데, 이 중 꾸미기 체조 수업에 대한 수업 사례를 들어 보기로 한다.

 
꾸미기 체조는 다양한 주제에 맞게 신체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활동으로,
창작능력과 신체적 표현능력, 소그룹 활동능력 등을 기를 수 있는 좋은 종목이다.
단순한 신체적 능력만을 측정하기 보다는 그룹 활동 속에서 목표달성을 위해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으며, 다양한 창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수업은 이렇게..

처음 수업을 구조화 하고 설계하는 데는 기술적인 관점 보다는 학생 구성원의 설계와
수업과 연계된 계획 등을 잘 마련하여야 한다.

먼저 구성원 설계는 학생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조직한다. 리더십, 신체적 능력, 창의력, 발표력 등 체조의 영역만을 생각하기
보다는 완성된 작품을 만들어 가는데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영역을 고려하여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수업과 연계된 계획을 제시하여 동기유발을 한다. 작품 발표 시험과 동시에 학생들의
작품을 사진을 찍어 공유하면, 학생들은 자신들의 작품의 주제가 더욱 부각될 수 있게
사진을 꾸며 제출한다. 그 사진은 교내 축제에 게시하며, 교내 체육대회에
우수한 팀을 출전시키거나, 학급 또는 청․백팀 대표로 참여시킨다. 아래의 그림은
교내 공연마당에서 우수 작품들이 발표를 하는 모습이다.

                                                           <작품명:오빠 달려~(오토바이)>

► 수업 진행 과제

수업의 과제는 공통 주제, 창작 주제로 나누어 진행을 한다. 공통주제는 체조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여, 그 과제의 수행능력 세밀하게 보는 방법이고,
창작주제는 학생들 스스로 창작한 작품을 선보이는 방법으로 작품의 톡창성, 표현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창작주제에 따른 예를 들어보면 아래 그림 ‘꽃게’ 작품은 비교적
간단해 보이지만 좌․우로 이동하여 큰 웃음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작품명 : 꽃게(옆으로 움직임)>

 ► 평가 방법

평가 방법은 교사에 의한 영역별 평가[작품성(내용), 난이도, 협동성, 창의성 등]와
학생 상호 평가(작품성), 학생 자기평가를 통해 평가한다. 다양한 방법의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자신을 냉정하게 반성해 보는 시간도 갖게 한다.

ⓒ 스포츠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