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상훈(선수트레이너협회 사무국장)
스포츠 상해는 훈련이나 경기에 있어서 기술부족, 과도한 훈련, 심리적 상태, 주의력 결핍, 준비운동 부족, 반칙행위, 폭력행위, 기구 및 장비 시설의 부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각각의 운동종목의 특성으로 인해 특징적인 상해가 나타나기도 한다. 훈련방법의 과학화, 첨단 장비의 개발 및 상해에 대한 지도자와 선수의 인식개선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상해의 발생빈도는 감소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손실은 선수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측면은 물론 팀 전체의 경기력 및 재정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엘리트 선수의 경우 소속팀과 국가적인 프로그램 전반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스포츠 상해 후 치료와 재활과정은 결국 스포츠로의 빠른 복귀를 최종목표로 하며, 스포츠로의 복귀는 부상을 당했거나 질병을 갖고 있는 선수가 안전하게 연습이나 경기에 복귀 할 수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복귀 결정은 스포츠 전문의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지만, 몇몇 지도자들은 짧은 시간 안에 의학적 진단 없이 빠른 복귀를 서두르는 과오를 범하기도 한다.
반복 손상을 입거나 큰 부상을 입은 후에 선수는 부상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을 갖게 되며 심할 경우 은퇴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경미한 부상이라 하더라도 이로 인해 경기나 연습이 중단되었다면 지도자는 복귀시키기 전에 적절한 평가를 내려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스포츠 선진국과 같이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Athletic Trainer)을 아마추어 스포츠팀에도 배치하여 빠른 처치와 평가를 내릴 수 있어야 한다.
부상의 정도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더라도, 선수는 지도자 또는 전문인력의 초기 검진과 머리에서 발끝까지 검사를 이행할 때까지 움직여서는 안 되며, 부상이 확인되었다면 환자는 응급처치법에 따라 다루어져야한다.
시합상황에서 지도자는 선수를 경기에서 제외시키는 결정을 내리는 데 주저해서는 안 된다. 선수가 최고의 컨디션에서 최상의 수행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 더욱 심각한 손상으로부터 선수를 보호하는 것이며, 결국 지도자에게도 팀 또는 선수의 전력을 지킬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방법일 것이다. 지도자는 선수의 부상이 의심된다면, 선수를 경기에서 즉시 제외시키고 의학적 판단을 내려야 한다.
지도자들은 간혹 선수에게 경기 복귀 결정을 하도록 하거나 선수들의 현재 증상 또는 증상의 일시적 결여에 대한 선수들의 구두표현에 기초해서 결정을 내리곤 한다. 선수가 경기에 복귀하는데 적합하고 준비가 되었는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절차가 필요하며 복귀는 의학적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최후 결정은 스포츠의학 전문의들의 몫이어야 한다.
선수의 심리상태, 관절가동범위(ROM), 근력과 호흡상태를 평가하는 검사들은 선수의 운동수행능력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선수는 경기에 복귀하기 전에 시합에서 수행해야 할 활동을 취해보고 부상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운동이나 활동을 해봐야 한다. 쪼그려 앉기, 팔굽혀 펴기, 외발 뛰기, 그리고 전력질주와 같은 활동 등을 쉽게 할 수 있고, 각각의 스포츠에 맞춰 필요한 동작을 시도할 수 있다.
발목 부상이 의심되는 야구선수가 통증이나 불편함 없이 전력질주가 가능하다면 경기에 복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기초적인 응급처치 이상의 보호가 필요한 모든 부상들은 운동 복귀 이전에 의학적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의학적 검사가 필요한 운동선수는 다음과 같다.
경기에 복귀하는 운동선수는 스포츠의학 전문의의 경기복귀 승인이 있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준은 선수가 완전한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준비가 되었는지를 결정할 때 사용된다.
● 통증이 없는 완전 가동범위
● 지속적인 부종과 염증이 없음
● 적절한 근력과 지구력
● 부상당하지 않은 건측과 비교할 때 90% 이상의 근력회복
● 적절한 심혈관계 체력
● 재 습득한 기술의 완벽한 구사
● 심리적 안정감, 자신감 회복
● 지도자의 훈련 형태의 만족
● 단거리 질주, 달리기 등 스포츠 종목에 부합한 운동기능의 회복
● 기타 스포츠의학 전문의에 의해 임상기준을 충족할 경우
마지막으로 한 시즌을 성공적으로 완벽하게 마무리 할 때 까지 재활과정이 마무리되었다고 판단해서는
안될 것이다.
※ 참고문헌
-스포츠의학(2011). 대한스포츠의학회 역. 한솔의학서적
-스포츠의학(2007), 오재근 외. 한솔의학서적
ⓒ 스포츠둥지
'분야별 체육이야기 > [ 전문체육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현상에서 맞수! (0) | 2011.11.02 |
---|---|
Synchronized Swimming : Athlete Development Ⅰ (0) | 2011.11.02 |
왜 프로야구는 재미있을까? (3) | 2011.10.27 |
골프의 역사: 셰퍼드 보이의 골프 창안설 (3) | 2011.10.26 |
Planning for Success (0) | 201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