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평가

체육교과 ‘영상평가’ 시리즈 3: 영상평가와 문항반응이론 이태구(부천 상동고등학교 교사)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중등학교에서는 시험을 치루고 나면 그 후에 시험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또는 반평균 점수 등을 보면 문항분석을 하는 것이 상례이다. 교사들은 지나치게 쉬운 문제나, 지나치게 어려운 문제 그리고 반평균 점수의 차이 등을 보고 교수학습 방법의 반성을 하거나, 제작한 시험문항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시험을 실시한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문항의 특성이 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시험을 치루는 A, B 두 집단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두 집단은 상당히 실력의 차이(A>B)가 있다고 가정하면, A집단에서 난이도가 쉽다고 판단된 문항은 B집단에서는 어렵다고 판단될지 모른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능.. 더보기
체육교과 ‘영상평가’ 시리즈 2: 영상평가를 체육수업에 적용하는데 왜 주저하게 되는가? 글 / 이태구 (부천 상동고 교사) ‘일치도란?' 일치도란? 목표, 수업 및 평가 간 일관성의 정도를 의미한다. 이것은 2007 개정교육과정 해설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1)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평가는 교육과정의 목표, 교수·학습 과정과 연계되어야 하며, 가르치는 내용과 평가 하는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체육과 평가 계획표를 작성하여 활용한다(93쪽). 일치도의 문제는 체육 수업을 처음에 계획하는 단계부터 평가를 마무리 하는 단계까지 한 단원의 체육수업이 지켜야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현장의 체육교사는 높은 일치도를 유지면서 체육수업을 계획·실행·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일치도가 낮은, 즉 심각한 불일치도의 문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행위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만약 .. 더보기
"영상평가"의 시작과 발전 그리고 한계 글 / 이태구 (부천 상동고 교사) ‘영상평가의 시작" 2000년 부천의 한 중학교로 발령을 받자마자 수업, 수행평가, 그리고 지필시험문제를 출제해야 하는 상황은 신입 체육교사에게는 너무도 당황스러운 일이였다. 왜냐하면 필자는 체육교육과를 졸업했지만, 이런 것들을 대학교육에서 배운 적이 없었다. 더군다나 나는 첫해 중학교 3학년들을 가르쳤는데, 그 당시에 부천은 비평준화지역으로 연합고사가 고등학교 진학에 큰 비중을 차지하여 중3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가을부터 중학교 전 과정을 다시 학생들에게 반복하여 가르쳐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었다. 그렇지만 난 첫 해의 경험을 통해 중학교 전 과정의 체육 교과서를 다 공부하고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고, 다시 학생들에게 중학교 체육 교과서 전체를 다시 교육하는 기회가 되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