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공개 폴더/스포츠동향

[Vol.44] 농구 및 배구산업 실태조사 비교분석



작 성 자: 김민수(한국스포츠개발원)

목 차

Ⅰ. 서론
Ⅱ. 농구 및 배구산업 구조 분석
Ⅲ. 프로농구 및 배구산업 현황 분석
Ⅳ. 농구 및 배구산업의 특성

요 약


 국민소득의 증가, 주 5일제 근무 및 주 40시간 근무제 확대 실시와 2012년부터 시행된 초·중·고교의 주5일제 수업의 영향으로 국민들의 여가시간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문화 및 체육활동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 40시간 근무제와 주 5일제 수업은 각종 서비스 산업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스포츠산업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스포츠에 참여하는 인구뿐만 아니라 프로스포츠를 관람하는 인구를 증가시키면서 스포츠용품의 수요 증가, 스포츠 시설 서비스 지출 및 프로스포츠경기 관람 등으로 인한 전체 스포츠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난 3월 각각 9월에 시작되었던 2015-2016 KCC 프로농구와 KDB 생명 2015-2016 여자 프로농구는 고양 오리온스의 14시즌만의 우승과 춘천 우리은행의 4시즌 연속 통합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1997년 시작된 프로 농구는 2011-2012 시즌에는 최고 기록인 1,333,861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전성기를 보이면서 프로 농구는 겨울철을 대표하는 관람 스포츠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2015-2016 프로농구 개막을 앞두고 발생한 전창진 감독의 승부조작 연루 혐의와 국가대표 출신인 김선형, 오세근 등 프로농구 선수들의 불법 스포츠 도박으로 인한 출장정지 징계, 프로야구 일정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앞당긴 9월 시즌 등이 악재로 작용하여 관중 100만 명 돌파에 실패하였다.

 지난 3월 10월에 시작되었던 NH 농협 2015~2016 V리그는 남자부 OK 저축은행의 2연패와 여자부 현대건설의 5년 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으로 겨울 프로스포츠 리그의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2005년 시작된 프로 배구의 경우 2013년에 잠시 주춤한 것을 제외하고 관중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지난 시즌 524,633명에서 올 시즌 2.0% 증가한 534,986명을 기록하였다. 프로배구는 프로농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지만 프로농구와 함께 겨울철을 대표하는 프로스포츠 리그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민체육진흥공단(2010)의 ‘한국 프로농구 산업 경제적 파급효과’와 ‘한국 프로배구 산업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프로 농구는 1,970억 원(생산 파급 효과 1,411억 원, 부가가치 파급 효과 559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10억 당 1,730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배구는 789억 원(생산 파급효과 566억 5천만 원, 부가가치 파급효과 222억 5천만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10억 당 680.8명의 고용유발효과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2014)의 “스포츠 시장가치망에 따른 통계작성과 정책방향”에 따르면 남자 프로농구는 2012년 기준으로 84억 원의 입장료 시장(본원시장)을 발생시키고 본원시장으로부터 파생된 중계권 시장의 규모는 50억 원, 스폰서 시장의 규모는 29억 7천만 원, 추가적인 머천다이징, 즉 상품화 시장은 100억 원, 스포츠 정보시장은 5억 원, 기타 사업지원 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56억 원의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남자 프로배구는 2억 6천만 원의 입장료 시장(본원시장), 34억 원의 중계권 시장, 215억 원의 스폰서 시장, 17억 원의 상품화 시장, 34억 원의 기타 사업 지원 서비스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여자 프로배구의 경우 2012년 기준으로 1천8백만 원의 입장료 시장(본원시장)을 발생시키고 스폰서 시장의 규모는 182억 원, 상품화 시장은 13억 원, 기타 사업 지원 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37억 원의 규모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프로농구 및 프로배구가 한국 스포츠산업에서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구와 배구 관련 산업이 한국 스포츠산업에 차지하는 비중을 알아보고 미래 농구 및 배구 산업을 전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SPOIS 사이트 내 스포츠산업지식정보를 참고하세요
http://www.spois.or.kr/front/www/issue/lis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