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인재육성사업 알림

시대의 상징물-대한민국 올림픽 선수단 단복

  

 

 

글/김학수(한체대 스포츠언론정보 연구소장)

 

 

         1972년 뮌헨올림픽을 앞두고 김택수 대한체육회장은 금메달에 대한 강한 집념을 보였다. 각 종목 선수들의 경기력이 금메달을 획득할만한 수준에 올라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김 회장이 금메달에 유난히 집착을 보인 것은 1948년 런던올림픽에 첫 출전한 이후 은메달, 동메달 등을 땄지만 금메달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일본이 이미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개최하며 많은 금메달을 획득한데 비해 대한민국의 성적은 초라했다. 따라서 국가적 자존심과 체면을 살리기 위해서도 대한민국의 금메달 획득은 대한민국 스포츠의 최대 지상과제였다.


금메달을 염원하는 김 회장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금색의 선수단복이 마련됐다.  김 회장은 대한체육회로 경남모직 임원을 불러내  “선수단 단복을 금메달 색으로 만들라”고 지시했다. 경남모직은 김 회장의 형인 김한수씨가 경영하는 회사이며 김 회장도 이 회사 대주주의 한 사람이었다. 경남모직은 네 번이나 다시 작업을 한 끝에 겨우 회장의 취향에 가까운 색상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일부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들이 색깔이 눈에 확 띄지 않고 다소 칙칙하게 보일 것이라는 이유로 반대했으나, “ 온 국민이 올림픽 금메달을 목마르게 기다리는데 우리의 각오를 다지기 위해서라도 이 빛깔이 좋다”고 우겨 결국 약간 붉은 바탕에 노란색이 배합된 단복으로 낙찰되었다. 그때까지 역대올림픽의 대한민국 선수단 단복은 확실한 규정은 없었지만 옅은 스카이블루의 상의에다 흰색 바지였다.

 

뮌헨올림픽 선수단(좌), 몬트리올 올림픽 선수단(우) ⓒ대한체육회


15년 전 발간된 이야기 한국체육사 체육행정 1편 ‘금메달을  향한 기나긴 여정-한알의 밀알’(김광희 지음)에 소개된 일화이다. 김택수 회장은 4년 뒤인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레슬링의 양정모가 건국이후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함으로써 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성취할 수 있었다. 양정모가 금메달을 획득할 때, 몬트리올 경기장 현장에선 김택수 회장, 정동구 레슬링 코치 등 한국 선수단과 임원들은 감격에 겨워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몬트리올 올림픽 선수단 단복도 뮌헨 올림픽 때 보다 진짜 금메달 색깔 같은 금색 복장이었는데, 김 회장의 염원이 대한민국 건국 역사상 첫 금메달로 결실을 맺게 된 것이다.

 

양정모의 첫 금메달이후 한국 스포츠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까지 32년간 총 68개의 금메달을 획득해 세계 스포츠의 강국으로 떠올랐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금메달 10개 이상으로 종합 10위를 목표로 하고 있는 대한민국 선수단 단복은 첫 금메달을 염원했던 40여년 전의 뮌헨 올림픽 때와 비교해보면 색상이나 디자인에서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대한체육회 후원사인 제일모직 빈폴이 선수단에 제공하는 단복은 이번 런던올림픽이 해방 후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내걸고 처음 출전한 하계올림픽이라는 점을 고려해 ‘영광 재현 1948’을 콘셉으로 채택했다. 대한체육회 공식 파트너인 휠라(FILA)가 제작한 단복은 태극 문양과  한민족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단청'을 이미지화했다. 또 다양한 기능성 소재와 디자인 패턴을 적용해 신체의 작은 움직임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됐다. 선수단은 개․ 폐회식에 단복을 입고 참가할 예정이다. 세계 7번째로 ‘20-50클럽(1인당 소득 2만달러, 인구 5천만명)’에 가입한 대한민국의 발전한 위상을 잘 보여주는 색상의 단복이다.

 

런던올림픽 선수단 단복 ⓒ체육인재


역대 대한민국 선수단 단복은 그 시대의 경제, 정치, 사회, 문화의 특색을 그대로 반영했다. 첫 대한민국의 올림픽이었던 1948년 런던 올림픽은 해방직후 물자부족에 시달리던 시대적 상황과 국제 감각의 부족이 여실히 드러났다. 이야기 한국체육사 체육행정 2 ‘여명-조선체육회, 그 세월과의 싸움’(김광희 지음)에 따르면 감색 상의와 흰색 바지라는 기준을 설정했으나 67명 선수단 단복 물량을 댈 수 없었다. 당시 물자가 빈약한 시장사정에서 확보할 수 있는 품목은 혼방으로 두껍고 투박한 옷감뿐이었으나 런던의 더위를 걱정하면서도 시간에 쫓기는 나머지 그대로 강행했다는 것이다. 또 한 번은 재일동포들이 보내준 회색양복지로 단복을 마련했다고 한다.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난 신생독립국인 대한민국의 선수단은 선수 52명중 30세 이상이 31명이나 됐으며 임원 15명도 모두 노령이었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영웅 손기정씨가 태극기를 맨 앞에서 들고 입장식에 들어선 대한민국 선수단은 해방이후 첫 올림픽 참가 그 자체에 큰 의미를 두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는 국내외적으로 격변의 시기를 보내면서 올림픽을 맞았다. 1950년 한국전쟁과 1960년 4․ 19 혁명, 1961년 5․ 16 쿠데타 등 정치, 사회적으로 엄청난 지각변동을 겪은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올림픽 출전사는 계속 이어졌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런던 올림픽 선수단 규모를 갖추고 1952년 헬싱키 올림픽, 1956년 멜버른 올림픽, 1960년 로마 올림픽에 출전했다.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곤색 상의에 회색 하의가 단복이었으며 멜버른 올림픽도 비슷한 색깔의 단복을 입고 출전했다. 로마 올림픽에는 감색 상의와 회색 하의에 붉은 넥타이를 맸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은 가깝고도 먼 나라인 이웃 일본에서 열려 226명의대형선수단이 코발트색의 상의에 흰색 바지를 입고 참가했다. 1968년 멕시코 올림픽선 푸른색 상의와 유니폼으로 단장했다. 전쟁과 기아에 허덕였던 가난한 나라 대한민국은 노 골드(메달) 속에서도 꾸준히 올림픽에 참가해 민족자존의 의지를 세계에 내세우며 명맥을 이어갔다.

 

서울올림픽 선수단 ⓒ대한체육회


1980년 동서냉전의 영향으로 모스크바 올림픽에 불참한 대한민국은 공산권국가가 빠진 1984년 LA 올림픽에서 푸른 상의에 흰색 하의를 입은 선수단은 금메달 6개로 금메달 다수확보에 성공하며, 일약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 잡았다. 동서화합의 제전이었던 1988 서울올림픽서 개최국이었던 대한민국의 선수단은 LA 올림픽 때와 비슷한 색깔의 단복을 입고 출전해 금메달 12개로 종합 4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금 12개를 획득한 선수단의 단복은 산뜻한 복장인 흰색 상의에 곤색 하의였으며 금 7개를 딴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선 위아래 모두 흰색으로 복장에 푸른 리본이 달린 모자를 써 세련되고 국제화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드니올림픽 선수단 ⓒ대한체육회

 

2000년대 이후 대한민국 선수단 복장은 글로벌화, 세계화를 리드하는데 손색없는 색상과 감각으로 세계화의 주역으로 주목을 받았다. 남북한 동시입장으로 세계평화를 바라는 세계 각국의 찬사를 받았던 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 남북한 선수단은 군청색과 베이지색 상하의를 입고 참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선 청색과 흰색, 흰색과 군청색등을 입고 출전했다.

 


역대 대한민국 올림픽 선수단의 단복은 성공을 기원하는 국민들의 염원과 메시지를 담고 정치, 경제적인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는 의미와 내용을 담고 있다.

 

 

 

ⓒ 스포츠둥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