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잉디스크로 즐거운 체육수업 만들기
글/고문수(인천용일초등학교)
초등학교 4학년 체육교과의 도전활동 영역 중에서 학생들이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하는 수업은 참여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플라잉디스크로 던지기와 받기만을 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는 낮아질 것이다. 그렇다면 어떠한 활동을 제공해야하는가? 이 부분에 관심이 모아져야 한다. 학생들은 관심과 동기가 유발되었을 때 학습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장의 교사들은 창의적인 학습 환경과 참신한 장비의 마련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플라잉디스크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고의 진작과 활동을 유발하는 유익한 도구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체육수업으로 숫자판 맞히기, 퍼팅게임, 어프로치게임 그리고 디스크 골프를 소개하고자 한다. 숫자판 맞히기는 플라잉디스크로 일정한 거리(3~5m)에 있는 숫자판 보드에 던져서 맞춘 숫자의 합을 모둠별로 계산하는 학생팀성취배분(STAD)나 모둠별 등수끼리 비교하여 점수를 제공하는 팀게임토너먼트(TGT) 등 협동학습의 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데 유용한 게임이다. 퍼팅게임은 가까운 거리(2~3m)에서 플라잉디스크를 던져서 디스캐처에 던져 넣는 게임이다. 어프로치게임은 20~30m의 거리에서 플라잉디스크를 던져 디스캐처 가까이에 붙이는 게임 활동이다. 그리고 디스크 골프는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활동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극대화시키고 건강과 체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게임이다.
디스크 골프는 뉴스포츠로 규칙이 통일된 기존의 스포츠와 달리, 규칙의 유연성과 게임의 간이성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자 지향의 스포츠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디스캐처(Discatcher)라는 표적을 이용하여 고정된 목표물에 대한 도전과 움직이는 타인의 신체적 기량에 도전하는 활동인 동시에 전략과 에티켓을 요구하는 활동이다. 디스크 골프를 통하여 학생들은 도전 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도전 정신을 실천하면서 도전 스포츠를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지식 습득과 동시에 신체활동의 수행하고 지식의 표현활동이 동시에 실시 될 수 있다. 교사컨설팅은 학생들이 수업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갈등을 해결해주는 코너로 현장에 투입된 스포츠강사와 팀티칭을 하거나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가 직접 코멘트 할 수 있다.
1. 숫자판 맞히기
2. 퍼팅 게임하기
3. 어프로치 게임하기
4. 디스크 골프 게임하기
디스크 골프 기록지
Hole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Par | 4 | 4 | 5 | 3 | 4 | 4 | 5 | 3 | 4 | 4 | 4 | 3 | 5 | 4 | 5 | 4 | 3 | 4 |
Score | ||||||||||||||||||
Total |
5.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체육수업
플라잉디스크 던져 넣기 |
플라잉디스크로 표적 맞히기 |
1) 디스캐처를 향해 |
1) 보자기(티셔츠) 맞히기 |
플라잉디스크 목표물 통과하기 |
전통놀이와 플라잉디스크의 만남 |
1) 허들 통과하기 |
1) 플라잉디스크 윷놀이 2) 플라잉디스크 투호 3) 플라잉디스크 비석치기 4) 플라잉디스크 땅따먹기 5) 플라잉디스크 사방치기 6) 플라잉디스크 국궁놀이 |
6. 나오는 글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체육수업의 성패는 교사의 책무성에 달려있다. 그리고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형태는 학습자의 참여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고문수, 2010a). 체육수업에서 교수․학습 자료로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디스크 골프에 참여한 한 학생의 체육일기를 통해 플라잉디스크와 함께 하는 체육수업의 가치를 확인해보자.
디스크 골프라는 말을 들었을 때, 많이 의아하게 생각하였다. 그런데 디스크 골프를 하면 할수록 체육수업이 재미있어진다. 이렇게 재미있는 수업은 처음이다. 디스크 골프는 나에게 흥미를 갖고 체육수업에 참여하게 만든다. 선생님의 말씀처럼 던지기 수업에서 공만 던지는 것이 아니라, 플라잉디스크를 던질 수도 있고, 구역을 정해놓고 멀리 던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목표에 얼마나 더 가까이 던지느냐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성진이의 체육일기/2009.11.09>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학교 체육수업을 보면 학습자의 관심과 괴리된 부분이 많았다.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통한 심동적․인지적․정의적 가치는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교사가 의도적이면서도 계획적으로 준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때만이 구체적인 실현으로 다가갈 수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새로운 참신한 수업교구가 도입된 체육수업이 제공될 때 체육교육의 가치가 극대화되고 학습자의 참여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앞으로 현장의 교사들은 다양하고 체계적인 수업내용의 개발과 보급에 관심을 기울여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즐겁게 참여하는 가운데 신체활동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문수, 2010b). ⓒ 스포츠둥지
참고문헌
고문수 외 5인(2010a).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체육수업. 한국학술정보(주).
고문수(2010b). 초등 체육수업의 이해와 실제. 한국학술정보(주).